YOU HAPPY
미술치료, 말보다 먼저 움직이는 마음의 언어
안녕하세요,
유해피심리상담센터 송파잠실센터 김묘연 상담사입니다 :-)
오늘은 ‘미술치료, 말보다 먼저 움직이는 마음의 언어'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상담실에서 자주 듣는 질문이 있습니다.
“그림을 못 그려도 미술치료 받을 수 있나요?”
또는,
“아이가 속마음을 잘 털어놓지 않는데, 미술치료가 도움이 될까요?”
이럴 때 저는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중요한 건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언어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그 여정을 함께하는 것이 바로 미술치료입니다.”
▷ 미술치료는 누구에게 필요할까요?
미술치료는 특정한 문제를 가진 사람만을 위한 상담이 아닙니다.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건강해지고 싶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치료적 접근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효과적입니다.
-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 및 청소년
(감정표현, 정서 조절, 또래관계의 어려움 등)
- 정서적 어려움, 트라우마 등 겪는 내담자
(우울, 불안, 스트레스, 대인관계 갈등, 외상 후 스트레스 등)
- 자기이해와 자기성장을 원하는 내담자
(자존감 향상, 자아 정체감 탐색, 자기효능감 증진 등)
▷ 말보다 먼저 움직이는 손, 미술치료는 어떻게 감정을 다룰까요?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그림은 단순한 창작 활동이 아닙니다.
그림은 감정, 기억, 무의식적인 내용을
안전하게 외현화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적 매개입니다.
내면의 정서를 말로 풀어내기 어려울 때,
그림은 감정을 안전하게 드러내는 통로가 되어줍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
‘잘 그리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미술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작품의 완성도가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과정 속에서 어떻게 감정을 표현하고,
어떤 이야기가 흘러나오는가입니다.
상담실에서 내담자들이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럴 때 종이와 색연필과 같은 색채 도구를 건네면,
그들의 손이 조용히 움직이기 시작하며,
선과 색이 마음보다 먼저 말을 걸어옵니다.
때로는 오래 눌려 있던 감정이 그림을 통해 서서히 드러나며,
정화의 경험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감정을 단순히 ‘터뜨리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표현되는 대신
그림이라는 안전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것입니다.
미술치료는 바로 그 손끝의 움직임과
그림 안에 담긴 정서와 상징,
그리고 관계적 반응을 함께 읽어가며
내담자의 이야기를 존중하고 함께 이해하는
비언어적 심리치료입니다.
그림은 단지 도구가 아니라,
내 마음을 가장 솔직하게 비춰주는 또 하나의 언어입니다.
말로 하기 어려운 마음도 있습니다.
하지만 마음을 표현하는 데 정답은 없습니다.
표현의 방식은 다양하며,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그림’ 역시 그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선과 색을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다독이는 경험은,
그동안 마음속에 담아두었던 이야기를
미술치료를 통해 조심스럽게 풀어낼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표현되지 못한 마음이 그림으로 드러날 때,
변화는 시작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