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YOU HAPPY

유해피 커뮤니티

전문가솔루션

인터뷰┃ 이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부부 상담에 관한 궁금한 이야기 (3)

맹미숙 2023-08-10 조회수 1,656





인터뷰┃ 이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부부 상담에 관한 궁금한 이야기 (3)






지난번 이혼 위기 부부 상담에 관한 글을 읽고 

3탄을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인터뷰┃ 이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부부 상담에 관한 궁금한 이야기 (1) 


인터뷰┃ 이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부부 상담에 관한 궁금한 이야기 (2) 

바로가기 클릭↑↑




여러분~ 요즘 너무 무덥네요. 

많은 분들이 무더위를 견뎌내시느라 정말 힘들텐데요. 

저는 이 무더운 날씨에도 이혼 위기를 맞이하신 부부들을 돕기 위해 

상담 현장을 굳건히 지키고 계시는 

유해피동탄점 맹미숙 부부가족 전문상담사님을 만나러 왔습니다. 


이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부부 상담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할 마지막 3탄이네요. 

함께 만나러 가시죠. COME ON







Q. 선생님 안녕하세요. 이혼 위기 부부 상담에 관한 마지막 3탄을 만나러 왔어요. 

  2탄에서 외도로 인한 이혼 위기 부부의 심리를 이해할 수 있었는데요. 

  오늘은 상담의 진행 과정과 결과에 대해 알고 싶어요.



ㄴA. 네, 반가워요. 많은 분이 이 시리즈에 관심 보이시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인터뷰어님이 질문하신 대로 이번엔 

상담 진행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 드릴께요.




                                     



<유해피 동탄점>






Q. 와우~ 기대되요. 빨리 알고 싶네요. 아참, 상담 과정은 이혼 위기의 부부에겐 모두 동일한가요?



ㄴA. 그렇진 않아요. 이혼 위기로 상담소를 찾은 부부는

 상담 과정에서 결혼 생활 유지나 이혼 결정 중 두 가지 갈림길에 있어요. 

어떤 방향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상담 과정은 달라집니다.




Q. 아~ 그렇군요. 결혼 생활 유지나 이혼으로 가는 중요한 선택의 순간이 정해지는 시기이군요.

  그럼 첫 회기엔 어떤 상담이 이루어지나요?



ㄴA. 네, 첫 회기에선 한쪽 배우자의 외도가 밝혀져서

 상대 파트너는 분노와 좌절감을 지니고 

불성실한 파트너는 죄책감과 두려움으로 상담소를 방문합니다. 

주로 상대 파트너가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싶어서

 불성실한 파트너를 끌고 오는 경우가 더 많아요. 




Q. 정말 안타깝네요. 

서로의 다른 감정으로 상담소를 내방한다고 하니 마음이 아프고 찡하네요.

  이럴 땐 상대 파트너가 아무리 적극적이어도 불성실한 파트너가 소극적이면 상담이 어려울 수 있겠네요. 



ㄴA. 그런 점이 저희 상담사에겐 가장 힘든 지점이에요. 

그래서 첫 회기엔 부부 각자의 감정을 다루고 외도가 일어나기 전 

부부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또한 부부의 결혼 지속에 관한 의지를 확인하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불성실한 파트너의 외도 과정을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Q. 불성실한 파트너를 좀 더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ㄴA. 불성실한 파트너가 결혼 생활을 훼손하는 행위를 하였지만 

외도 전 부부관계를 위협했던 위험 요인을 찾는 과정도 중요하기 때문이에요. 

이를 통해 부부의 결혼 생활 유지를 위한 서로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상담 목표를 빠르게 계획할 수 있습니다. 

  



Q. 근데, 불성실한 파트너의 외도 원인을 상대방 파트너에게서만 찾는 것 같아서 걱정돼요.



ㄴA. 좋은 피드백이시네요. 

주로 불성실한 파트너가 회피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의 정보를 좀 더 적극적으로 경청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유해피 동탄점>





Q. 휴~ 괜한 걱정이었네요. 다음 두 번째 회기에선 어떻게 진행되나요?



ㄴA. 두 번째는 각자 배우자에 대한 애정의 정도를 체크하고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제가 상담한 부부 중 한 사례에선 불성실한 파트너가 

“남편은 저에겐 무관심하고 일과 자녀에게만 관심을 가져서 너무 외로웠어요”

라고 보고하였어요.


 반면 상대방 파트너는 

“아내는 자신에게만 집중하고 자녀와 가정에는 소홀한 이기적인 사람이에요”

라고 보고하였어요. 




Q. 그렇군요, 각자 상대방 배우자에 대한 불만이 있었던 거군요



ㄴA. 우려하신 것처럼 위 부부는 일반적인 부부 갈등으로 

상담소를 방문하시는 부부보단 상담 기간이 좀 더 길고 힘든 과정이었어요.

 그래서 세 번째는 부부가 상담을 통해 극복하기 위한 상담 목표로 두 가지를 설정하였습니다. 

하나는 신뢰감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고 또 하나는 갈등을 줄일 수 있는 노력이었어요.




Q. 정말 힘든 과정이었군요. 그렇다면 위 부부처럼 외도한 배우자에 대한 

신뢰감 회복은 어떻게 할 수 있었을지 매우 궁금해지네요.



ㄴA. 위 부부는 상대방 파트너가 불성실한 파트너를 

계속 의심하는 것에 집중하느라 서로가 너무 괴로운 날들을 보내고 있었어요. 

그래서 가장 먼저 불성실한 파트너가 상대방 파트너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실천하도록 하였어요. 




Q. 위 부부의 불성실한 파트너는 상대방 파트너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어떤 방법을 실천하였나요?



ㄴA. 하나는 더 이상 외도한 남성을 만나지 않겠다는 각서를 썼어요. 

또 하나는 핸드폰 비번을 남편에게 알려주어 항상 볼 수 있게 해 주었어요.




Q. 와우~ 불성실한 파트너가 신뢰감을 쌓기 위해 노력을 해 주었군요. 

핸드폰을 배우자에게 공개하기로 한 것은 대단한 결심으로 보여져요.

이런 노력에 상대방 파트너는 어떤 반응을 보였을지 궁금해요



ㄴA. 남편도 아내의 노력을 대하면서 신뢰감을 조금씩 쌓아가고 

분노와 미움이 서서히 내려앉는 긍정적 관계로의 방향을 갖게 되었어요. 

이처럼 네 번째는 긍정적인 변화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돕는 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겁니다.




                            


<유해피 동탄점>






Q. 그렇군요. 위 부부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결혼 유지로 결정하시게 되었나요? 



ㄴA. 네, 다행히도 위 부부는 상담을 통해 결혼 유지로 결정하시게 되었어요. 

하지만 18회 상담 과정을 통해 부부가 신뢰감을 100% 회복하기란 쉽지 않아요. 

1년여 이상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어쩌면 평생 의심하면서 살아갈 수도 있습니다.




Q. 기쁘면서도 너무 안타깝네요. 어떻게 하면 서로 상처를 회복하면서 잘 살아갈 수 있을까요?



ㄴA. 외도는 상대방 파트너에게 모욕과 거부로 받아들여지고 

이런 마음으로 불성실한 파트너를 대하므로 

상대방도 같은 마음으로 상처를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해 서로가 매우 심한 상처를 안겨주게 되므로 

새로운 희망을 열어준다는 것은 상담자로서 매우 어려운 과제이기도 합니다. 




Q. 매우 어려운 상담 과정이군요. 하지만 위 부부처럼 희망적 결과를 원하시는 부부를 위해

  마지막으로 한 말씀 부탁드려요.



ㄴA. 부부가 이혼 위기를 겪는 가장 위험한 경우인 외도는 

부부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 주지만 안타깝게도

 현대 부부들에겐 흔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결혼해서도 낭만적 사랑을 꿈꾸며 

비이성적 사고와 잘못된 신념으로 외도를 정당화하고

 ‘어딘가의 잔디가 더 푸르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결혼은 상대방 배우자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약속하는 과정이었음을 잊지 말기 바랍니다.


만약 외도로 인해 신뢰가 깨진 상황에서도 부부가 잘 극복한다면, 

배우자에 대한 믿음의 토대를 보다 새롭고 강하게 세울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유해피 동탄점>





유해피심리상담센터 동탄점에선 부부들의 갈등 원인에 관한 탐색 과정과

 건강한 부부관계로의 새로운 출발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위기의 부부들을 만나는 상담자의 하루를 희망차게 열어가겠습니다. 

긴 시리즈에 많은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