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HAPPY
아이의 거짓말,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유해피심리상담센터 동탄센터 전선우 상담사입니다 :-)
오늘은 우리아이 ‘거짓말’을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Q : 아이들은 왜 이렇게 거짓말을 많이 하는 걸까요?
A : 거짓말을 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벌을 피하려는 두려움과 부모의 실망을
마주하기 싫은 마음, 인정 받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Q : 아이의 거짓말에 대해 설명하려고 하면 할수록
더 인정을 안하고 이런 상황이 너무 답답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A : 맞아요,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서
설명해준 거 같은데 오히려 더 과장되게
“엄마(아빠)는 내 말을 안 믿어!”하며 표현할 때가 있죠.
어떻게 알려줘야 하나 혹은 훈육을 해야 하나
고민되실 거에요.
그럼 이제부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부모가 아이의 거짓말을 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냉정하고 객관적인 태도입니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부모가 화를 내거나 처벌 중심으로 접근 할 경우
아이는 더 복잡한 거짓말을 개발하며
방어적인 태도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짓말을 줄이는 부모의 대화법
1. 공감의 언어를 사용하세요
공감의 언어 예시 :
“네가 그렇게 말한 이유가 궁금해”,
“엄마가 도와줄 수 있을까?”
tip. 아이의 말을 비판하기보다
“왜 그렇게 말했을까?”라는 궁금증으로 접근하세요.
거짓말의 결과를 설명하며
아이가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이야기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엄마의 설명을 듣고
솔직하게 이야기한다면 용기를 갖고
엄마(아빠)에게 솔직하게 말한 아이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칭찬과 감사의 표현 듬뿍)
2. 거짓말을 예방하는 환경 만들기
부모와의 친밀도가 높은 가정일수록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솔직함을 선택합니다.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환경 조성
(실수에 대해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기)
tip. 실수를 배우는 기회로 활용하며
잘못된 행동을 비난하기보다
“다음엔 어떻게 할까”라는 질문으로
스스로 문제 해결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선택과 책임에 따른 상황과 관련된
역할극 활용도 좋습니다.
3. 아이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세요
아이가 이야기하고 있을 때
도중에 말을 끊지 말아주세요.
경청하는 태도는 부모님의 행동을 보고
모방하며 배우기도 합니다.
“그건 거짓말이야, 사실과 다른 이야기 그만해,
왜 그렇게 말이 안되는 말을 하는 거야”-X
아이의 이야기가 끝날 때까지 들어준 후
“~~~~하다가 억울한 거 있어?
엄마(아빠,친구)가 오해한 부분 있어?”,
“엄마(아빠)가 알고 있는 사실과는 다른 거 같은데
왜 그렇게 말하는 건지 엄마(아빠)는 궁금해”-ㅇ
와 같은 공감의 언어로 대응해주세요.
“그렇게 된 거였구나,
00이(가) 몰라줘서 속상했겠다.”
아이의 마음 속에는
“그게 아닌데! 사실은 이런 이야기 하고 싶었는데..!” 하는
마음을 읽어주고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해줘야 합니다.
그래야 억울함과 분함이 없고
거짓말로 인해 발생 되는 상황들을 받아드릴 수 있어요.
거짓말은 아이들이 성장 과정에서 겪는
자연스러운 일 중 하나입니다.
비난보다는 이해, 처벌보다는 공감으로
아이와의 신뢰를 쌓는다면
아이들은 부모를 자신의 든든한 편으로 인식하며
더 솔직해질 것입니다.
부모의 따뜻한 대화와 공감이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이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