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YOU HAPPY

유해피 커뮤니티

전문가솔루션

자해를 하는 마음

고승희 2025-04-04 조회수 177

종합심리검사 필요성






 

안녕하세요,


유해피심리상담센터 일산본점 고승희 상담사입니다 :-)



오늘은 자해를 하는 마음'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요즘 자해하는 자녀의 부모님을 다수 뵙습니다.


대상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아동에게도 나타나는 실정입니다.



상담센터에 방문한 부모님의 첫 번째 요청은


우리 아이, 이렇게 힘든 줄 몰랐어요

자해를 멈추게 해 주세요.”


두 번째 의문은


아픈 자해를 왜 할까요이해하기 어려워요.”라고,


자해하는 것 자체를 받아들이기 힘들어하십니다.


 

이러한 자해하는 자녀를 


어떻게 이해하고 도와주면 좋을지


아래의 내용에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자해?


자해는 죽으려는 의도 없이


 자기 몸에 상처를 내거나 아프게 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생명에 위협적이지는 않지만


신체적 고통이 따르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자해 당사자에게 중요한 것은 


자해 자체가 아니라


지금 겪는 감정적 · 존재론적 고통이며,


자해는 그저 그것을 해소하거나 


밖으로 드러내는 수단에 불과합니다.


 

자해는 장기화가 되면 자살 위험을 높이고 


그 자체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하기에


관심을 기울이며 심리치료로 개입해야 합니다.






 

 2 왜 하는 것일까?


자해한다는 것은 

스스로 견디기 어려운 마음이 드는 순간,

그 마음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 모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저히 해결이나 해소 방법이 없다고 여겨질 때,


벗어나고자 찾는 탈출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스스로 느끼는 분노나 


자기 처벌 욕구


자해를 시작하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고통 상쇄 효과를 연구하는 연구팀은


신체에 고통을 일으키는 


불쾌한 자극이 사라질 경우,


고통을 경험하기 전의 원 상태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짧지만 매우 강력한 안정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연구진은 고통 그 자체 보다


고통을 주는 자극이 사라질 때 찾아오는 위안이 


자해를 지속하도록 하는 매커니즘이라고 말합니다.


 

자해 행위가 좋아서 하는 자해 당사자는 없습니다.



신체적 고통보다 더한 


심리적 고통 때문에 자해하는 것입니다.


가장 괴로운 것은 자해 당사자라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3 부모님의 대처방법


가장 먼저 자녀의 마음을 바라봐 주세요.


견디기 힘든 마음이 어떠한 마음인지 알고


견딜 방법을 찾으면 나아질 수 있습니다.



심리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함께 상의해 주세요.


시행착오를 겪는 기간을 견뎌주세요.


나아지고자하는 자녀의 마음을 


지지하고 격려해 주세요.

 

 



 

청소년기에 오랜 자해 경험이 있었던 한 심리전문가는


자해를 하는 마음이라는 책을 집필하며,


모든 인터뷰에서 자해 당사자들에게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지금 다시 시간을 돌려 

자해가 가장 심했던 시기의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했나요?’ 


신기하게도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참여자가


자해 그 자체를 이야기하면 너무 부담스러우니까

그보다는 그저 곁에 있어 주면서

 가끔 상태가 안 좋아 보일 때 

괜찮아?’하고 물어보거나 

같이 맛있는 걸 먹는 다거나 하는 방법으로 

도와주면 좋겠다.”는 

공통된 의견을 내놓았다고 합니다.

 

 

앞으로 자해하는 자녀의


힘겨워하는 마음에 더 관심을 기울여주시고,


자녀의 마음이 더 단단하게 나아가는 성장을 도우면


함께 극복해 나갈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심리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유해피심리상담센터 일산 본점에 


문의해 주세요.



겪고 있는 어려움이 나아질 수 있도록


진심 어린 마음으로 함께 하겠습니다.